>웹이 만들어지는 과정
:프로그램 -> 운영체제 -> 적절한 하드웨어
▷운영체제(OS)
:하드웨어에 적절한 전기신호를 흘려주는 역할
▷소스코드
:컴퓨터에게 내리는 명령을 뜻하는 문장
1)프로그램에서 소스코드를 적는다
2)운영체제가 컴파일을 해서 각각 적절한 하드웨어에 전기신호를 전달한다.
3)하드웨어가 명령에 따른다(ex:화면에 소스코드에 맞는 UI를 보여준다)
*컴파일이란?(Compile)
:직역하면 엮다라는 뜻으로 번역하다라는 의미이다.
-컴퓨터는 1,0으로 이루어진 코드만 알아듣는다. 그러므로 사람언어를 컴퓨터 언어로
바꿔주는 작업을 해야한다.
System.out.println(); --> 사람 언어
10110111010101 ----> 컴퓨터 언어
ex)컴퓨터 너 hello world 문자 써줘! --> 컴퓨터 입장: 머선 소리고
system.out.println("Hello World") ---->컴퓨터 언어로 바꿔서 전달
---> 컴퓨터 입장: 아 Hello World 를 print하란 뜻이군.
>자바란?
:웹개발할때 자주 쓰는 언어
:컴파일 언어, 객체 지향 언어
:이식성이 높다.
-->서로 다른 실행환경을 가진 시스템 간에 프로그램을 옮겨 실행할 수 있는 것
>>Java언어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소스 파일을 다시 수정하지 않아도, 자바 실행환경(JRE: Java Runtime Environment)이 설치되어 있는 모든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하다. 따라서 자바언어는 이식성이 높은 프로그래밍 언어이다.
>Java로 기술된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소프트웨어
1.JVM(Java Virtual Machine)
-자바 가상 운영체제
-Java 프로그램을 실행해준다.
2.JRE(Java Runtime Environment)
-자바 실행 환경
-JVM을 생성해주는 부분과 JVM에서 실행 할 때 필요한 라이브러리 파일들 ,
기타 파일들을 가지고 있다.
3.JDK(Java Development Kit)
-자바 실행 환경
-JAVA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
-JRE 외에도 개발에 필요한 도구들을 가지고 있다.
+이클립스(Eclipse)
:여러 언어를 개발할 수 있는 툴로서 통합 개발 환경(IDE)중 하나이다.
첫 시작: 자바 JDK 파일, 이클립스 설치
특징: 자바는 설치 후 환경변수를 설정 해주어야 한다.
운영체제는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. 운영체제가 아닌 프로그램(어플리케이션)도 운영체제를 거쳐 결국 하드웨어를 통해 동작하게 되는 것인데, 운영체제가 없으면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없으니 어플리케이션도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것이다.
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것은 운영체제가 컴퓨터의 어떤 경로에서든지 파일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.
즉 자바 환경 변수를 등록하는 것은 컴퓨터의 어떤 경로에서든 운영체제가 자바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.
(설치 과정은 구글 참고)
>자바 프로그램의 구조
프로젝트 > 패키지 > 클래스 > 메소드 > 소스코드
:클래스(맨 앞글자가 대문자)
:메소드(이름 뒤에 소괄호)
*지금은 어떤 코드보면 구별할 정도로만 파악할 것.
>많이 쓰는 코드 : {} , 주석 , \n
{ }
:영역, 바디
:해당하는 클래스, 메소드 등의 영역을 나타낸다.
*현재 선언중(생성중)임을 나타낸다.
주석
:해석하고 싶지 않은 문장 앞에 사용한다.
// : 한줄 주석
/*
여러줄 주석
*/
1.소스 코드에 설명하는 글을 달때(개발자들 간에 소통 용도로 쓴다)
2.기존에 사용하던 소스코드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을 때
\n, \"
:enter 를 의미하는 코드
:print();에서는 enter가 안되므로 쌍따옴표 안에 같이 넣어주어야 엔터 처리된다)
ex1)
홍길동
입니다
System.out.print("홍길동\n" + "입니다")
ex2)쌍따옴표가 출력되게 하고 싶을 때: \"
출력하고자 하는 쌍따옴표 왼쪽에 역슬래쉬 달것.
He said " I love you"
이 경우에는 쌍 따옴표가 안에 들어가길 원하는 것이므로
System.out.print("He said" + "\"I love you \""

->위의 그림을 보면 Package> class > method (main) 순서대로 임을 알 수 있다.
>출력
:개발자가 사용자에게 값을 보내어 표현해주는 행위
>출력 메소드:
System.out ---- .print(값)
:괄호 안에 있는 값을 그대로 출력
:마지막에 줄 바꿈을 하지 않는다.
ex) "키는" + " +" + A +"+" + "cm이다"
.println(값)
:print()와 동일, 마지막에 줄바꿈을 한다.
.printf(서식문자열, 값1,값2..)
:줄 바꿈을 하지 않는다.
:코드가 한눈에 보인다.
ex) 키는 Acm이다, 163
*서식문자열: 서식문자가 포함된 문자열(ex)"%fcm")
:뒤에 올 값들은 앞에 문자열에 있는 서식문자대로 따라와야 한다,
printf("키: %fcm",170.24); ---> 키:170.24cm
>서식 문자(format 문자)
:printf();시 사용하는 문자, 문자 하나로 취급된다.
:따옴표 안에 존재한다.
:%와 함께 쓰인다.
%d : 정수
%c : 문자
%s : 문자열
%f : 실수
%% : %
TIP.실수에서 소숫점 자리를 정하고 싶을때: %.(1,2,3...)f
System.out.printf("키: %.3fcm", 170.2424687);
--->키:170.240 (소숫점 3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결과값)
>String.format();
우리가 실제로 현장에서 개발할때는 System.out.print 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
보여주지 않고 문자열의 경우에는 string.format 이라는 메소드를 사용한다.
System.out.println(
String.format("키: %fcm", 170.243453)
);
'프로그래밍 > Java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6일차 -메소드 (0) | 2021.11.23 |
---|---|
Java 4일차 -for문 (0) | 2021.11.23 |
Java 5일차 -배열 (0) | 2021.11.22 |
Java 3일차 -조건문 (0) | 2021.11.19 |
Java 2일차 -변수 (0) | 2021.11.17 |